최종 수정일 : 2024-06-05 16:33

마이크로(Micro) 디그리

학문 간 융복합 사고능력 함양을 위한 융복합 교육과정

배경 사진

마이크로(Micro) 디그리 소개

  • 학문 간 융복합 사고능력 함양을 위한 융복합 교육과정
  • 서로 다른 전공(학과)에 소속된 2인 이상의 전임교원들이 참여
  • 개별 과정은 최소 15학점 이상의 교과목으로 구성
  • 해당 과정의 12학점 이상 취득 시 마이크로(Micro) 디그리 수여
  • 과정 이수를 중단할 경우: 개발에 참여한 전임 교원의 소속 전공(학과)이 해당 과정에서 학점을 취득한 학생의 주전공, 복수전공, 제1전공, 제2전공 중 1개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 마이크로 디그리 전체에서 최대 6학점까지 전공학점으로 인정 가능
    단, 차미리사교양대학 교원이 개발에 참여한 교과목은 전공학점으로 인정이 불가능함
다양한 교과목 학습
전공 간 융합
마이크로(Micro) 디그리

덕성여자대학교
미래인재대학

덕성(德性)을 갖춘 창의적 지식인 육성

미디어콘텐츠 제작

교육과정 개요

학문 간 융복합 사고능력 함양을 위하여 개설된 『미디어콘텐츠 제작』 교육과정에는 7개의 교과목이 있다. 경영학전공, 독어독문학전공, IT미디어공학전공의 3개 전공이 미디어 관련 주제로 다양한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하여 경영+IT미디어, 독일문화+IT미디어의 융합으로 설계하였다.
최근 미디어 생태계의 환경 변화는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두 축이 아닌 혼재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본 교육과정은 트렌드를 고려한 IT기술과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제작하는데에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목표
  •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미디어스토리텔링을 분석하고 트랜스미디어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다.
  •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을 제작자 1인에서 확대하여 팀작업을 통한 협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 미디어 산업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미디어관련 창업의 기회도 탐색할 수 있다.
  • 다양한 디바이스를 접목한 미디어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다.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영상스토리텔링제작 창의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한 스토리보드 기획 및 제작으로 이루어지는 Pre-Production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문화기술 이해를 기반으로 한 표현력을 습득하게 하는 수업
(M)미디어제작 고급 창의적인 실감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작하여 디바이스에 구현하는 수업
(M)1인미디어연출기술 1인미디어 영상 콘텐츠에 대한 연출 및 제작을 배우는 수업
ICT비지니스 ICT(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학습을 기반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새로운 창업 사업 기회를 탐색하고 ICT 비즈니스/디지털 변화 트렌드에 대한 다양한 세부 주제별 과제 수행으로 신기술 및 ICT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이해 능력 향상을 목표로 진행
실시간모션 2D 및 3D 그래픽 작업을 소스로 하여 실감미디어에 적용하는 모션그래픽 콘텐츠를 제작
(M)미디어 커머스 온라인쇼핑몰 제작/ 제품소싱/ 기획/ 라이브방송/ 제작/ 운영 과정을 실습하며 미디어커머스를 학습한다.
(M)미디어스토리텔링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한 미디어스토리텔링의 원리와 내용, 방법을 학습하고,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연습하는 강의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나정조 미래인재대학 가상현실융합학과 (M)영상스토리텔링제작
김영호 미래인재대학 가상현실융합학과 (M)미디어제작 고급
심보광 과학기술대학 IT미디어공학전공 (M)1인미디어연출기술
노태협 글로벌융합대학 경영학전공 (M)미디어 커머스
조우호 글로벌융합대학 독어독문학전공 (M)미디어스토리텔링
나정조 미래인재대학 가상현실융합학과 실시간모션
노태협 글로벌융합대학 경영학전공 ICT비지니스
진출 분야
  • 방송, 영화, 광고, 게임, 애니메이션 산업
  • 미디어콘텐츠(게임, 교육, 의료, 영상 등) 기획분야
  • 미디어콘텐츠 제작분야
  • 독일 기업(Siemens, Bosch, BMW, Benz 등)의 미디어 부서

유니버설디자인

교육과정 개요

오랫동안 디자인은 주로 기업의 가치창출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활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모든 사람을 고려한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고, 모두를 위한 디자인인 유니버설 디자인은 현대사회에서 핵심적인 사회적 개념으로 부상하며, 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유니버설디자인 전공의 교육과정은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 중심의 교육으로 ‘미래디자인’의 방향성을 이해하도록 하며, ‘통합과 융합’, ‘문제해결’ 중심의 교육으로 디자인적 사고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공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문제해결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졸업 후 디자인관련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갖추는 동시에 진로선택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이 본 교육과정의 목적입니다.

교육목표
  • 사회적 가치 창출
    • 학생들에게 사회적 책임감을 심어주고, 디자인을 통해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조성하는 역할에 집중
  • 통합과 융합 능력 제고
    •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역량을 융합하여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 협업하고, 유연한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
  • 문제해결 능력과 디자인적 사고의 강화
    •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디자인적 사고를 토대로 문제해결방안을 찾는 능력을 강화하여 실제 산업 및 사회에서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유니버설디자인 세미나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기초 지식의 배양을 목표로 디자인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이해하고, 경계와 장애를 허무는 융합과 배려의 디자인 개념, 적용범위와 사례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토론과 세미나 중심으로 진행되는 교과목
(M)디자인씽킹 디자인씽킹은 창의적 접근방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으로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의 기본개념, 원리와 적용방법을 학습하며, 다양한 사례를 탐구하여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협업 및 소통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중점을 둔 교과목
(M)디자인과 사회 디자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책임을 이해하고, 디자인을 통한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혁신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유니버설디자인관점에서의 디자인이 가진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디자인을 경험해보는 교과목
(M)디자인과 가치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이 추구하는 가치를 사회, 환경, 인간, 기술로 나누어 다루며, 사회 영역에서는 사회 통합 문제의 해결을 위한 관계 디자인, 환경에서는 치유를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 인간에서는 기능적 유토피아와 인본주의적 유토피아의 균형, 그리고 기술 중심의 사회에서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역할에 대해 세미나, 토론, 발표, 팀별 실습을 통해 학습하는 교과목
(M)지속가능디자인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인류는 기후변화와 성장 중심의 경제 한계를 극복하고 공정한 기회, 차별 없는 포용과 성장을 통한 상생을 추구하므로,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와 Agenda, 혁신적 사고와 지속가능디자인 사례를 학습하고, 이론 학습, 주제 토론, 팀별 활동을 통해 실제 적용 능력을 키우는 교과목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문은미
이은옥
Art&Design대학 실내디자인
텍스타일디자인
(M)유니버설디자인 세미나
이승진
이은옥
Art&Design대학 시각디자인
텍스타일디자인
(M)디자인씽킹
이은옥 Art&Design대학 텍스타일디자인 (M)디자인과 사회
문은미
이재범
Art&Design대학 실내디자인
텍스타일디자인
(M)디자인과 가치
이승진
이은옥
Art&Design대학 시각디자인
텍스타일디자인
(M)지속가능디자인
진출 분야

유니버설공간디자이너, 유니버설도시환경디자이너, 공공디자인 행정관, 노유자시설 디자인전문가, 시민참여디자인 코디네이터
UX디자이너, UD폰트디자이너, 컬러리스트, 서비스디자이너, 디자인정책관, 유니버설제품디자이너, 공공 정책관, 사회적 디자이너, 사회혁신 컨설턴트, 업사이클링 디자이너, 문화재 관련 유니버설 디자이너, 환경 디자이너

문화콘텐츠 기획

교육과정 개요
  • 역사ㆍ철학의 고전에서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를 기획한다.
  • 문화콘텐츠와 연계된 문화산업, 문화경영, 문화정책의 기본개념을 익힌다.
  • 문화콘텐츠산업의 다양한 영역(관광, 축제, 영상, 게임 등)을 분석하고 이해한다.
  • 한국 문화정책과 대외문화정책을 해외 사례와 비교하며 고찰한다.
  • 현장과 연계된 문화기획 실습을 진행한다.
  • 문화 관련 직업을 탐색하여 미래를 설계한다.
교육목표
  • 인문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문화콘텐츠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자로서의 역량을 기른다.
  • 지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로컬콘텐츠 개발을 통해 지역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를 기른다.
  • 한국문화의 정체성과 경쟁력을 통해 K-콘텐츠를 매개로 해외의 다양한 수요자들과 문화적 소통과 교류를 진행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문화콘텐츠 기획입문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유통, 활용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역사, 철학 분야의 고전을 발췌하여 강독함으로써 동서양의 문화원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문화콘텐츠 기획안을 작성할 수 있는 기초역량을 키운다.
(M)미디어와 시각문화콘텐츠 미디어의 발전과정과 이에 따른 문화의 변화를 이해한다. 동영상, 디지털미디어를 중심으로 시각문화콘텐츠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역량을 키운다. 영상문화의 산업현장을 이해함으로써 시각문화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배양한다.
(M)일본의 축제와 문화 문화콘텐츠산업의 주요 장르로서 축제에 대해 살펴본다. 축제의 기원과 그 역사적 변천 과정을 통해 축제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며, 콘텐츠 산업의 한 영역으로 발전한 축제의 여러 요소를 분석한다. 이와 함께 일본을 중심으로 한 여러 축제 사례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 기획자로서 축제에 대한 식견을 높인다.
(M)지역문화와 지역관광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역관광콘텐츠 기획을 위한 이론과 사례들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K-관광의 맥락에서 지역문화의 적용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적용해본다.
(M)문화콘텐츠의 이해와 기획 실습 문화콘텐츠학 이론 수업과 함께 심화실습을 진행한다. 교수자와 학생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실제 문화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현장 연계 수업으로 운영한다. 매 학기 외부연계 프로젝트 또는 공모전 참여 등 실제 현장과 연계된 문화기획에 참여한다.
(M)문화기획과 직업 문화경영과 한국 문화정책의 특징을 해외 문화정책과 비교하여 고찰한다. 공공외교의 개념을 이해하고, 한국 공공외교 현황을 해외 공공외교 현황과 비교하여 살펴보며 문화교류 역량을 키운다. 또한, 문화기획의 사례를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고, 관련 기관의 특강을 통해 현장을 이해한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는 자신을 성찰하여 직업관을 구체화하고 문화 관련 직업을 탐색하여 자신의 미래를 설계한다.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이송란 글로벌융합대학 미술사학 (M)지역문화와 문화관광
곽정연 글로벌융합대학 독어독문학 (M)미디어와 시각문화 콘텐츠
(M)문화기획과 직업
손재현 글로벌융합대학 일어일문학 (M)일본의 축제와 문화
최주희 글로벌융합대학 사학 (M)문화콘텐츠기획입문
정수희 글로벌융합대학 미술사학 (M)문화콘텐츠의 이해와 기획실습
(M)지역문화와 문화관광
진출 분야
  • 진학 : 문화콘텐츠, 문화(예술)경영 및 행정, 문화기술(CT), 문화정책 등 문화련 대학원 등
  • 문화관련 공공기관 : 문화체육부 산하 공공기관, 외교부 산하 문화교류 관련공공기관, 문화재단, 문화원,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
  • 문화산업 관련 기업 : MICE산업 기업, 미디어 관련 기업, 게임기획 및 개발업, 공연기획, 출판사 등
  • 문화마케팅 및 서비스직 : 기업홍보마케팅, 문화마케팅 등
  • 창업 : 로컬크리에이터, 문화 스타트업 등

레저스포츠융합정보

교육과정 개요

레저스포츠 시대에 레저를 산업 정보화시키는 것은 시대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레포츠산업정보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는 ‘스포츠산업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스포츠용품 대표 브랜드 육성’, ‘스포츠 융합 서비스 창출’, ‘프로스포츠 경쟁력 제고’, ‘지역스포츠산업 수요 창출 및 인프라 구축’, ‘스포츠산업 진흥 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5년동안 5,900억 원을 투자하였다. 특히, 스포츠 융합 신서비스 창출, 미래형 신규 스포츠콘텐츠 기술 개발 등에서는 U-스포츠구현을 통한 신 관람문화 창출, U-스포츠장비 콘텐츠 개발 및 U-경기장 구축 등 많은 스포츠 정보화에 박차를 가했다. 따라서 교과목 개발의 목적은 체계적으로 레저스포츠산업정보화가 이루어져 첫째, 지역별로 레포츠지도자의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둘째, 레포츠지도자의 종목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셋째, 이러한 자료를 기본으로 합리적인 레포츠지도자의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교육목표

정보화 시대에 레포츠 융합정보는 이제 피할 수 없는 스포츠경영의 한 축이 되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융복합의 한계를 알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레포츠를 웰빙 산업과 연관시켜 활용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융합정보처리 인재양성이 본 교육의 목표다.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레포츠산업정보의 이해 정보화 시대와 기술 발달에 따라 레포츠를 웰빙 산업과 연관시킴으로써 스포츠 정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파악.
스케이트의 종류와 자세에 대한 이해-빙상장에서 수업 진행
실전 스케이트 연습을 통하여 스피드 스케이트 기술 습득.
(학생들과 상의하여 종목 변경 가능.)
(M)액티비티스포츠 윈드서핑의 추진원리, 장비 및 윈드서핑의 방향조정 원리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기초기술 출발 5단계 동작 숙지.
바람을 이용하는 런닝 기술 및 방향전환 기술 습득.
이와 더불어 요트미스트롤의 안전요인과 기본예절을 배움으로서 심신의 발전과 기초체력 향상 뿐만 아니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교양교육을 함께 함양하도록 함.
(학생들과 상의하여 종목 변경 가능.)
(M)레저스포츠 융합정보처리 댄스웰니스산업 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매트 필라테스, 요가 등의 동작을 습득하여 체형교정, 근력강화, 재활운동의 효과를 기대.
또한 EXCEL 프로그램 습득을 통하여 동작을 정보화시키고 처리하는 전문적인 융합정보처리 과정을 진행하도록 함.
(학생들과 상의하여 종목 변경 가능.)
(M)레저스포츠 미디어콘텐츠 레저스포츠 산업에 대한 이해와 변화를 바탕으로 미디어콘텐츠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교과목.
레저스포츠 관련 콘텐츠 창작을 기반으로 하는 하는 미디어 수업으로 콘텐츠 기획, 생산, 연출, 전파 과정을 배우고 창작함.
(M)레저스포츠 실습 및 운영 레저스포츠산업 분야의 이해, 레포츠 분야 선행 비즈니스 모델 사례 연구, 레저스포츠 벤처창업과정,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 레포츠벤처 운영 등의 세부 활동을 포함한 교육 커리큘럼을 PBL(Project-Based Learning) 방식의 교과목으로 운영함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강준상 과학기술대학 생활체육학전공 (M)레포츠산업정보의 이해
(M)액티비티스포츠
(M)레저스포츠 융합정보처리
노태협 글로벌융합대학 경영학 (M)레저스포츠 미디어콘텐츠
(M)레저스포츠 실습 및 운영
진출 분야

레포츠산업전문가, 스포츠산업전문가, 스포츠관광사업전문가, 스포츠 아나운서, 스포츠 경영 관리사, 스포츠 기자 등

국제정치경제협상전문가 과정

교육과정 개요

본 교육과정은 국제협상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역량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 국제정치경제협상은 국제협상 분야 중에서도 다양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곳이며, 이는 협상에 관한 일반 이론을 포함하여 실무적 역량 또한 요구하고 있음. 동시에 다문화 협상 환경이 일반적인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문화적 요소에 기반한 협상전략 수립과 실무역량을 학습할 필요가 있음. 본 교과는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으로 제공하도록 함.

교육목표

첫째, 국제정치경제협상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한 자료를 분석 종합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진행하는데 목적이 있음.
둘째,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통해 조별 활동을 수행하고 이를 최종 보고서 형태로 완성하여 공식문서 글쓰기 역량을 높이고, 협상 관련 종합적 분석력을 배양하는데 교과목 개발 및 운영 목적이 있음.
셋째, 다양한 협상 사례에 대한 학습과 분석 보고서 작성을 통해 국제정치경제 협상 분야에 필요한 직무역량을 배양하는데 교과목 개발 및 운영 목적을 설정함.
넷째, 본 교과는 협상과정 실무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적용하는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국제정치경제 환경을 고려하는 내용을 포함하도록 함. 이로써 국가 사이에 나타나는 다문화 환경에서 협상전략과 기술을 익히고 이를 국제정치경제 사례에 적용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음.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정치경제협상전략
  • 갈등 발생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은 갈등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있음
  • 본 교과 수업에서 진행하는 갈등의 원인분석과 대안 제시에 필요한 의사결정 부분을 학습하는 점에서 상황에 대처하는 유연성을 높이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 협상 상황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최적의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이를 반영한 협상결과 도출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 본 교과의 주요 내용임
  • 이에 협상 상황에 대한 해결책 제시를 조별 프로젝트의 주요 과제로 설정하여 수업을 진행함
  • 수업 과정에 학습자는 유연한 사고 능력에 대한 지속적 점검을 받을 것이며, 이로써 해당 능력의 함양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함
(M)정치경제협상실무
  • 갈등 발생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은 갈등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있음
  • 본 교과 수업에서 진행하는 갈등의 원인분석과 대안 제시에 필요한 의사결정 부분을 학습하는 점에서 상황에 대처하는 유연성을 높이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 국제정치경제협상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협상전략 개발 과정을 PBL로 진행하며, 실무중심의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역량 함양
  • 단순 이론 학습이 아닌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여 국제정치경제 협상전략 모델 개발 필요성과 실무능력 학습
  • 국제정치경제 협상 전략 모델에 대한 창의적 접근 방법 학습(의사결정 이론 학습 포함)
  • 협상전략 수립 방법론을 학습하고 이를 국제정치경제 협상 사례에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량 배양
(M)국제정치경제협상 사례연구
  • 협상 사례 분석은 복합적 전후 맥락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음
  • 전후 맥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협상 과정, 결과에 대한 의미를 적절하게 파악하기 어려움
  • 본 교과에서 조별로 수행하는 프로젝트는 이러한 협상과정 전반을 다루는 점에서 협상 현상에 나나타는 중요한 의미를 파악하는 훈련이 가능한 체계임
  • 이로써 감각형성능력의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국제정치경제협상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한 자료를 분석 종합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진행하는데 목적이 있음
  • 또한,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통해 조별 활동을 수행하고 이를 최종 보고서 형태로 완성하여 공식문서 글쓰기 역량을 높이고, 협상 관련 종합적 분석력을 배양하는데 교과목 운영 목적이 있음
  • 다양한 협상 사례에 대한 학습과 분석 보고서 작성을 통해 국제정치경제 협상 분야에 필요한 직무역량을 배양하는데 교과목 운영 목적을 설정함
(M)국제정치경제협상과 문화
  • 국제정치경제 협상은 본래적으로 다문화권 참가자 간에 발생하는 현상임
  • 이에 협상 이론에서도 다문화 배경 협상기술에 대한 내용을 다룬 연구가 다수임
  • 본 교과 안에서 해당 내용을 학습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과정에 문화 특성을 반영한 협상결과 개선 방안 도출을 최종 보고서 작성 과정에 지도하도록 함
  • 이로써 다문화 환경에서 대인관계에 기반한 협상능력의 습득 정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함
  • 본 교과는 정치외교학과 국제통상학의 융합형 교과에 해당함
  • 정치경제 환경은 상호관련성이 높아 학제 간 교육을 통해서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음
  • 본 교과의 운영은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학문적 경계를 초월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협력하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함
국제협상론
  • 국제 협상론은 개인 간 협상의 기본 개념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과정에 경험하는 협상의 실제를 다루는 과목이다.
  • 본 과목은 협상론의 일반적 이론을 기본으로 다양한 협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협상과 관련한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수업 목표로 한다.
  • 국제협상은 글로벌 환경이 확장되면서 비즈니스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이며, 협상 실무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인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이에 본 교과에서 협상에 필요한 실무 지식을 함양하고 이를 다른 문화권의 대상과 협상할 때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조연성 글로벌융합대학 국제통상학 (M)정치경제협상전략
(M)정치경제협상실무
(M)국제정치경제협상 사례연구
(M)국제정치경제협상과 문화
박진수 글로벌융합대학 정치외교학 (M)정치경제협상전략
진출 분야

협상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에서 오랜 동안 중요한 실무 영역이었음. 본 교육과정 수료생은 두 분야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협상 전문가 역량을 함양할 수 있으며, 기를 기반으로 사회진출을 도모할 수 있음. 구체적으로 협상 분야 전문가는 국제기구 및 통상 분야 기구에 진출할 수 있음. 양쪽 모두 협상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다문화 환경에서 협상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실무역량을 함양한 경우 더욱 다양한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함.

소셜 이노베이터

교육과정 개요
  • <소셜 이노베이터> 과정은 철학‧정치외교학‧국제통상학 연계‧융합 과정임
  • 사회가치(철학) → 정책개발(정치외교학) 및 사회혁신(국제통상학) → 사회혁신모델실습 I,II(국제통상학)로 연결
  • 전 학년 수강가능한 <사회적가치철학>(철학개발)은 사회혁신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규범윤리‧실천윤리‧정치철학‧사회가치에 대해 성찰한 후 이를 적용하는 연습을 시도
  • 3~4학년 과정은 본격적인 분석, 정책 개발, 현장 실습, 모델 실습으로 구성
  • <지역현안분석과정책개발>(정외개발)은 대학 인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현실적으로 유효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키움
  • <사회적혁신과지속가능개발>(국통개발)은 지역사회 혁신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지역 활동과 사회혁신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함으로써 능동적인 소셜 이노베이터로 성장할 토대를 마련
  • <사회적 혁신 모델 실습 Ⅰ>, <사회적 혁신 모델 실습 II>(국통개발)은 사회혁신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사회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실습을 수행
  • 본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은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거치고 실천적인 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진정한 소셜 이노베이터로 성장할 것임
교육목표
  • 지역에 관심을 갖고 유효한 정책을 제안하는 역량을 함양한다.
  • 창의적이고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공공인재를 양성한다.
  • 지역사회를 혁신하는 소셜 이노베이터를 양성한다.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사회적 가치 철학 본 교과목은 모듈형 <소셜 이노베이터> 과정의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내용을 다룸. 규범윤리‧실천윤리‧정치철학의 기본을 이해하고 토론을 통해 여러 쟁점을 검토할 것임. 이론적 토대에 관한 성찰을 바탕으로 정치‧규범‧실천‧사회 가치에 관한 이슈를 탐구하며, 이는 기업‧단체‧지역에서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의 새로운 해석과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실습으로 확장될 것임. 실습에서는 윤리‧철학‧가치에 대한 성찰을 통해 기업‧단체의 윤리 규정 및 헌장을 평가하고 보완‧정당화하는 작업과 사회적 가치를 지역사회에 적용하여 현안을 발굴‧해결하는 연습이 이루어질 것임.
(M)지역 현안 분석과 정책 개발 지금까지 대학은 연구와 교육을 중심으로 운영됨으로써 지역과 연계한 사회적 기여에 소홀한 측면이 있음. 대학이 변화하는 국내외 환경 속에서 지역과 연계한 역할을 어떻게 기획하고 수행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음. 대학평가에 지역사회 참여‧기여에 대한 평가 기준이 마련되고 있어 적극 대응의 필요성도 제기됨. 본 교과목의 목적은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이해, 지역 현안에 대한 분석 능력, 융합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에 기반한 정책 제안 능력을 키우는 것임. 이를 토대로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의 공공 문제를 해결‧개선하는 인재로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세부적인 교육목표임.
(M)사회적 혁신과 지속가능개발 사회문제 발생 시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은 문제 요소 파악 및 적절한 해결책 제시와 연결됨. 본 교과목은 사회문제의 원인분석과 대안 제시에 필요한 의사결정 학습을 통해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사회문제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울 것임. 조별 프로젝트는 지역사회 문제 분석을 기반으로 지속가능개발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며, 수집한 자료와 분석결과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도록 유도함. 해당 프로젝트 수행은 사회현상 관찰능력과 해결계획 수립 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것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제 간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융‧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음. 본 교과는 기존 학문의 경계를 초월하고 다양한 분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할 것임.
(M)사회적 혁신 모델 실습 Ⅰ 사회적 혁신모델 실습은 이론적으로 습득한 사회문제 해결 역량을 실제에 적용하는 교과목임. 사회적 혁신모델은 지역사회 현안을 포함, 다양한 사회 갈등 요소에 관한 실효성 있는 해결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함. 사회혁신의 주요 속성 중 하나는 사회문제로 가득한 현장에서 시민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새로운 방식과 아이디어로 문제 해결을 시도한다는 점임. 본 교과목의 중심은 문제기반 활동을 통해 학생 스스로 지역사회 문제를 확인하고 효과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실습에 있음.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 간 소통‧협업 증대, 연구개발 성과 확산‧활용의 극대화, 현장 기반 연구 지향, 문제 해결을 통한 지속가능성의 추구가 가능함.
(M)사회적 혁신 모델 실습 Ⅱ 사회혁신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역사회의 혁신을 모색하는 다양한 접근이 추구되고 있음. 이에 지역사회와 연계한 <사회혁신> 교육과정의 설계‧운영과 함께 소셜 이노베이션 인재를 양성하는 교과목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음. 본 교과목은 학습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킹 활동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진출 역량 및 소셜 이노베이터 역량을 고취할 것임. 실습 활동에서는 지역사회 문제의 해결 방향을 제시하며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는 LSP 학습을 진행하고, 다양한 지역 커뮤니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료를 분석하고 대안을 도출하는 PBL 을 수행할 것임. 또한, 지역사회 기반 CBL을 통해 현장 중심 학습 성과를 제고할 것임. 동시에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혁신 모델을 수립하는 PBL과 LSP 활동을 실행하여 소셜 이노베이터 실무역량을 기를 것임.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조연성 글로벌융합대학 국제통상학 (M)사회적 혁신과 지속가능개발
(M)사회적 혁신 모델 실습 Ⅰ
(M)사회적 혁신 모델 실습 Ⅱ
한우진 글로벌융합대학 철학 (M)사회적 가치 철학
조진만 글로벌융합대학 정치외교학 (M)지역 현안 분석과 정책 개발
진출 분야
  • 공공 분야: 정치인, 선출직 보좌관, 공공기관이나 관공서 정책 연구원(지원관), 정당정책연구소 연구원, 시민단체 활동가 등 지역에 관한 관심과 정책 제안 역량은 대의민주주의를 실시하는 국가에서 매우 중요함. 기초 단위까지 선거를 통해 대표를 선출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과 정책에 대한 이해는 선출직 정치인, 보좌관, 공공기관‧관공서 정책 연구원(지원관), 정당정책연구소 연구원, 시민단체 활동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필요함. 특히 2019년에 개정되어 2022년부터 시행 중인 지방자치법하에서는 지방의원 2명당 1명의 정책 지원관을 두도록 규정하고 있고, 향후 중앙과 지방 모두 관련 인력을 확충할 가능성이 커, 대비가 필요한 상황임. 시장이나 민간 영역에서도 지역과 정책에 관한 고민이 늘어나고 있으며, 지역과 사회혁신에 관한 기초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소셜 이노베이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지역 현안에 대한 이해, 각종 자료 수집과 정리, 수집한 정보에 분석, 정책 제안서 작성과 홍보 실습 등은 융합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 및 분석력을 갖춘 지역 정책 인재를 키울 것임.
  • 민간/사회 분야: 민간기업, 사회적기업, ESG 전문가 등 민간기업 진출과 사회적기업의 창업도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의 주요 진출 분야임. 최근 글로벌 환경은 ESG 경영을 강조하지만 전문 역량을 갖춘 인재는 충분히 양성되지 못하고 있음. 이는 기존의 이윤 중심 접근법이 아닌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한 기본 철학 및 접근 방식에 관한 체계적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임. 본 과정을 이수할 경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이론과 실습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사회문제 해결의 일반적 접근방법부터 이를 구체화하는 실무역량까지 함양할 수 있음. 최근 공공기관‧지자체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기업에 대규모 지원을 지속하고 있음. 본 과정을 이수할 경우 사회적기업 운영에 필요한 사회적 문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습득할 것임.

East Asian Society and Culture

교육과정 개요

This program offers student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gion's society and culture. It covers diverse topics, including dynamics of divided Koreas, contemporary issues in East Asian sexuality, Korea's distinctive role in East Asia, social psychology in Korean society, and modern East Asian history. These courses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intricat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region. It aims to deepen students'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ulture and society by delving into key themes, such a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aspects of the two Koreas, current issues in East Asian sexuality, exceptionalism in Korea, complexities of social psychology in Korean society, and conflicts surrounding historical issues. Through a thorough exploration of these topics, students will develop a nuanced perspective, fostering a deeper comprehension of the multifaceted dynamics shaping the region.

교육목표

This series of cours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are conducted in English, presenting a distinctive opportunity for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ents to explore the diverse facets of Korea and East Asia. Covering a broad spectrum, these courses include history, culture,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the arts, ensur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or all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courses taught in English enhance the global relevance of these topics, providing participants with a valuable skill set to engage with international topics and fostering cross-cultural understanding.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The Two Koreas The primary goal of this course is to equip student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social dynamics that underlie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tiliz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integrates primary documents, literature, and film, the course aims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skills by examining how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volved into distinct entities over nearly eight decades, characterized by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deological disparities. By delving into the lives of ordinary North and South Koreans, students will develop a nuanced perspective on the human experience within this historical context. Moreover, the course endeavors to assess future implication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n reunification, prompting students to envision and critically evaluate potential trajectories for these two nations.
(M)Contemporary Issues in East Asian Sexuality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evolution and current dynamics of sexuality in East Asia. Beginning with a historical perspective, it delves into pre-modern sexual cultures and the influence of modernity and Western ideas. The course critically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heteronormativity and traditional gender roles, alongside their impact on sexual behavior. It offers a deep dive into the changing landscape of gender roles and sexuality in the 21st century, with a particular focus on LGBTQ+ history, rights, and representation. Students will engage with diverse topics such as queer movements, sexual health and rights, sex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technology on sexuality and relationships.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gain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ies surrounding sexuality in East Asia, its historical context, and contemporary issues.
(M)Korea's Exceptionalism in East Asia The main objective of this lecture is to understand comprehensive aspects of the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modernization that Korea has undergone. These aspects will be reviewed with perspectives that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state and society as its basic interpretive framework for comprehending the dominant forms of social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Korea.
(M)Understanding Social Psychology in Korean Societ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relevance of Western-developed theories and concepts in social psychology to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facets of Korean society.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complexities inherent in Korean society, juxtaposed with other ethnicities and cultures, this course aims to cultivate a cross-cultural perspective among students. This perspective is integral to fostering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 equipping students with the requisite knowledge and skills to engage effectively within the global community.
(M)Modern East Asian History 업데이트 예정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허켈리 차미리사교양대학 (M)The Two Koreas
쉐리슬릭 차미리사교양대학 (M)Contemporary Issues in East Asian Sexuality
김두환 글로벌융합대학 사회학 (M)Korea's Exceptionalism in East Asia
김은정 글로벌융합대학 사회학 (M)Understanding Social Psychology in Korean Society
김성운 글로벌융합대학 사학 (M)Contemporary Issues in East Asian Sexuality
진출 분야

Graduate studies
Positions in business related to East Asian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lobal Relations and Cooperation

교육과정 개요

The Micro-Degree in Global Relations and Cooperation is designed to cultivate a deep understanding of global dynamics, nurturing skills and insights essential for navigating today's interconnected world. Through a curated set of courses, participants will explore critical aspects of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relations perspectives, and strategic approaches to international business. As well as immersing themselves in diverse theories, frameworks, and case studies, students will actively participate by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alongside their own perspectives to critically confront the various topics and issues throughout the three courses. The overall goal is to have students leave the program in a position where they are equipped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key issues impacting the world, so they are able to contribute more actively towards a sustainable and harmonious future.

교육목표

This series of cours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are conducted in English, presenting a distinctive opportunity for both international and current students to cultivate a deep understanding of global dynamics necessary for today’s interconnected world in the areas of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business and multiculturalism and globalization.

교과목 소개
교과목 소개
교과목명 내용
(M)Sustain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This course introduces the essential concepts of sustain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It explores how these ideas have evolved and their significance in today's world, particularly in addressing global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and inequality.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global citizens in promoting sustainability. The course incorporates case studies and discussion of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o illustrate practical applications. By the end,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impact of their actions on global sustainability and be equipped to make informed, sustainable choices.
(M)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This course focuses on developing a deep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The course explores the intricacies of global markets, analyzes cross-cultural business environments, and formulates strategic approaches to thrive in the international business landscape. It provides student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ies and challenges involved in conducting business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There are a variety of aspects from international business, including market entry, globalization, cultural considerations, competitive analysis, and strategic decision-making. By the end of the course students will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global competitive advantage is and how it is achieved.
(M)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second course in the micro-degree i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IR). This course outlines the main theories in IR (Realism, Liberalism, Marxism, Constructivism, Post-Positivist Approaches) and how they can be used to analyze and explain current and historical events in international politics. Students will be challenged to question their initial assumptions and attempt to consider global event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course both requires and fosters strong critical thinking. By understanding the multiple theoretical lenses of IR, students will be better equipped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discern the interplay of power, economy, culture, institutions, and history in shaping global events.
(M)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업데이트 예정
(M)Cross-Cultural Management This course focuses on understanding how and why the various management activities and processes that take place in organizations vary around the world. Reflecting recent research in cultural anthropology, psychology, economics, and management,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companies are organized and work across cultures. The course covers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need for cross-cultural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that take into account cultural diversity.
Corporate cases will be used to apply the theories and discussions will be held on some topics covered.
운영 교수진
운영 교수진
성함 소속 전공 교과목명
허켈리 차미리사교양대학 (M)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쉐리슬릭 차미리사교양대학 (M)Sustain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마크샘플 글로벌융합대학 (M)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샘스미스 글로벌융합대학 (M)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정지용 글로벌융합대학 경영학 (M)Cross-Cultural Management
진출 분야

한국학 대학원 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