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학은 생명과학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식품의 생산, 가공, 저장, 유통, 조리 분야를 다루는 식품학 분야, 인류의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에 기초가 되는 영양학 분야, 단체급식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전공연혁
1962년 12월 1일 : 영양학과 개설
1977년 12월 1일 : 식품영양학과로 개편
1979년 12월 1일 : 석사학위과정설치
1987년 11월 1일 : 박사학위과정 설치
1997년 3월 2일 : 학부제 시행으로 자연과학부에 소속되어 식품영양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2011년 2월 28일 : 식품영양학과로 재개편
전공목표
식품영양분야 전문지식 함양
과학적인 식품분석 및 미래지향적인 식품개발 능력 강화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관리 및 급식관리 능력 강화
전공과정일람표
전공과정일람표
학년
구분
과목명
학점 / 시간
계
비고
1학기
2학기
1
융합(탐색)
식품과학의기초
3/3
/
/
1
융합(탐색)
영양과학의기초
/
3/0
/
2
전선
식품과학
3/3
/
/
2
전선
영양생리학
3/3
/
/
필수권장
2
전선
식품학
3/3
/
/
2
전선
식품분석 및 실습
3/4
/
/
2
전선
영양과 현대사회
3/3
/
/
2
전선
공중보건학
/
3/3
/
2
전선
식생활관리 및 실습
/
3/4
/
2
전선
조리원리 및 실습
/
3/4
/
필수권장
2
전선
지역사회영양학
/
3/3
/
필수권장
3
전선
식품미생물학 및 실습
3/4
/
/
3
전선
식품화학
3/3
/
/
3
전선
영양생화학
3/3
/
/
3
전선
생애주기영양학
3/3
/
/
3
전선
영양판정
/
3/3
/
3
전선
고급영양학 및 실습
/
3/4
/
3
전선
식품가공저장학 및 실습
/
3/4
/
필수권장
3
전선
식품위생학
/
3/3
/
필수권장
3
전선
식품면역학
/
3/3
/
(←미래식품학)
4
전선
단체급식관리
3/3
/
/
필수권장
4
전선
급식경영학
3/3
/
/
4
전선
식사요법
3/3
/
/
4
전선
영양사현장실습
/
2/2
/
4
전선
식품산업현장실습
/
2/2
/
4
전선
임상영양학
/
3/3
/
4
전선
식품위생관계법규
/
3/3
/
필수권장
4
전선
영양교육상담
/
3/3
/
(←영양교육)
계
28 과목
/
/
/
교수진 소개
명예교수 : 임숙자
구내전화 :
학위 : 오레곤주립대학교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연구실 :
명예교수 : 강금지
구내전화 :
학위 :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영양학(임상영양,영양교육)
연구실 :
명예교수 : 김명화
구내전화 : 8598
학위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영양학(지영사회영양, 영양과질병)
연구실 :
명예교수 : 조윤옥
구내전화 : 8376
학위 : Oregon State University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영양학(영양생리학)
연구실 :
총장 : 김건희
구내전화 : 8011
학위 :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식품학(식품화학 및 식품품질관리)
연구실 : 자A221
명예교수 : 정하숙
구내전화 : 8593
학위 : 덕성여대 대학원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천연물화학
연구실 :
교수 : 정미숙
구내전화 : 8590
학위 : 덕성여자대학교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식품학
(식품화학)
연구실 : 자A217
교수 : 김경희
구내전화 : 8591
학위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식품영양학(식품학)
연구실 : 자A213
조교수 : 강민지
구내전화 : 8598
학위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영양학
연구실 : 자A214
조교수 : 한정우
구내전화 :
학위 : 서울대학교 (농학박사)
전공 및 연구분야 : ○ 식품산업형 미생물 등 신속진단 플랫폼 기술 분야
- 금 나노입자를 활용한 식품산업 현장용 비색 바이오센서 연구
- 바이오센서용 식품 전처리 연구
○ 식물성 대체 식품 및 소재 분야
- 육류 근조직 모사 압출성형 공정 연구
- 동물성 지방 조직 모사 에멀젼 겔 시스템 연구
- 계란의 기능적 특성 모사 대체식품소재 연구
연구실 : 자A220
졸업후 진로
국가고시 영양사 시험을 통하여 면허를 취득할수 있으며 졸업후에는 임상영양사, 단체급식소ㆍ사회 복지기관ㆍ보건소의 영양사, 식품 관련연구소, 식품관련 회사, 영양교사(교육대학원 진학), 중등교사(가정), 영양교사, 보건교육사, 식품관련 공무원 등으로 나갈수 있다. 본 학과 및 외국대학의 석사 또는 박사 과정에 진학하여 학문에 전념할 수 있다.
졸업생 현황
졸업생들은 주로 종합병원, 기업체, 호텔, 초 중 고등학교 등에서 영양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생명과학관련 연구소와 식품업계의 연구실, 개발실, 실험실 및 교육기관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국내외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후 대학 및 기업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있다.